본인이 운전할 자동차를 살 때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단순히 가격이 얼마인지가 아니라 차를 구매해고 취등록세를
얼마나 지불하는지를 사전에 계산해 볼 필요가 있어요.
차량 취등록세란 자동차를 구입하거나 명의를 이전할 때
반드시 내야 하는 세금인 취득세와 차량의 정보를
등록할 때 납부해야 하는 등록세의 합성어인데요.
세율을 통해 직접 계산할 수도 있지만 자동차 등록비용
계산기를 사용하면 머리 아프지 않게 본인이 내야 하는
등록세와 취득세가 각각 얼만지 쉽게 알 수 있을 거예요.
차종별 취등록세 몇 프로일까?
경차, 승용차, 화물차, 승합차 중에서 영업용은 전부
취득세 2%, 등록세 2%로 총 4%의 취등록세를 내게 되어있고
비영업용 자동차는 면제 또는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자가용의 경우 경차는 취등록세를 납부하지 않겠지만
승용차 및 7~10인승 승합차는 7%, 11명 넘게 탑승 가능한
승합차와 화물차는 5%의 취등록세를 납부해야겠죠.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 사용법
네이버 홈페이지로 들어가셔서 검색창에 자동차 365를
입력하면 상단에 자동차 종합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동차 365 홈페이지가 나타날 것입니다.
클릭해서 접속해 주시고 여러 가지 메뉴 중에서 신차구입
메뉴를 누르시면 신차구입의 모든 것이 나타나는데
이중에 신차 등록비용 자세히 보기를 눌러주기 바랍니다.
그러면 신차 등록비용 계산기 화면이 나타나는데
차량가격 항목에 자동차 금액을 입력해 주시고 사는 지역이
어디인지, 자동차 용도가 무엇인지 각각 고르기 바랍니다.
그러고 나서 친환경차, 승용차, 경차, 화물차, 승합차
5가지 중 에서 선택해 주신 다음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본인이 내야 하는 취득세가 얼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 사용법
위에서 안내해 드린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는 신차
기준으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중고차를 구입할 사람은
신차구입이 아닌 중고차 매매 메뉴를 눌러주셔야 되는데요.
클릭하면 반드시 확인할 중고차 매매 정보로 이동하는데
이 중에서 중고차 등록비용 자세히 보기를 누르시고
동일하게 차량가격, 거주지역, 차종을 골라주시면 된답니다.
'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콜택시 전화번호 찾기 택시회사 연락처 조회방법 (0) | 2025.01.22 |
---|---|
티맵 내비게이션 설치 지도 다운로드 데이터 절약 방법 (0) | 2025.01.18 |
자동차 운전면허 2종 보통으로 운전 할 수 있는 차량 (0) | 2025.01.15 |
시외버스 예매 어플 추천 티머니 시외버스 예약방법 (0) | 2025.01.13 |
카카오맵 지도 다운로드 퍼가기 오프라인 저장방법 (1) | 2025.01.12 |